Texonom
Texonom
/
Engineering
Engineering
/Data Engineering/Data Processing/Computer Vision/Computer Vision Data/Image Source/PNG/LZ77/
허프만 부호화
Search

허프만 부호화

허프만 부호화는 아까 JPEG 압축에도 쓰였던 엔트로피 부호화
이 방식은 데이터 문자가 얼마나 자주 출현하는지 빈도를 파악해 빈도수가 높은 기호에 짧은 접두어 코드를 부여합니다. 많이 사용되는 게 작을수록 공간이 절약
 
 
 
 
JPEG vs. PNG: 적절한 이미지 포맷 선택하기 (2) - PNG편
지난 글에서는 JPEG의 특징에 대해 살펴보았으니, 이번엔 PNG에 대해 알아봅니다! 이 시리즈의 이전 글: JPEG vs. PNG: 적절한 이미지 포맷 선택하기 (1) - JPEG편 PNG 역시 웹에서 널리 사용되는 이미지 포맷 중 하나입니다.JPEG와 마찬가지로 픽셀로 이루어진 비트맵 그래픽이기도 하고요. 이름은 Portable Network Graphics의 약자로, 말그대로 '인터넷'에서 표현될 이미지를 염두에 두고 개발되었습니다.
JPEG vs. PNG: 적절한 이미지 포맷 선택하기 (2) - PNG편
https://nykim.work/93
JPEG vs. PNG: 적절한 이미지 포맷 선택하기 (2) - PNG편
 
 

Recommendations

Texonom
Texonom
/
Engineering
Engineering
/Data Engineering/Data Processing/Computer Vision/Computer Vision Data/Image Source/PNG/LZ77/
허프만 부호화
Copyright Seonglae Ch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