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precated
Talent - 2 / 183
most human born
A: 여전히 대부분의 사람은 역사상 가장 풍요로운 자본주의 시대에 풍요롭게 태어나지 못하고 있다. 한계를 드러낸 자본주의에 human being의 무한한 쾌락본능을 채우기에 보통의 인간은 가난하다
그래서 가짜 세상에서 호흡하는 사람들이 많아진다
현실을 유지하려면 자본이 필요하지만 가짜 세상은 그 자체로 충만하다
자본을 얻기 위해선 재능이 필요하지만 재능의 정의 자체에 상대성이 포함되기에 소수만이 얻을 수 있다
B: 재능이라는 환상은 본인의 노력이 부족했음을 인정하기 싫어서 만들어진 환상인가
아니면 그런 변명이 재능있는 놈들이 자신의 운 좋음을 인정하기 싫어 만든 변명인가
하지만 재능이 없는 것을 세상과 부모의 탓으로 돌리고 원망할 시간에 현재의 자신을 인정하고 노력해온 사람과 현재의 자신을 인정하지 못하고 '척' 하며 살아가는 사람은 다르다
큰 돈이든 작은 돈으로 사는 잠깐 스쳐가는 환상이 아니라 영원히 곁에 있을 진짜 쾌락 '성취감'
세상 어디에도 공짜는 없다 쉽게 얻은 쾌락과 안정감만큼 다시 현실로 돌아왔을 때는 그 몇배 이상의 슬픔과 불안감에 추락한다
악순환에 빠져 현실의 쾌감을 얻지 못한 '영혼의 시체' 가 된다'
A: 무한경쟁 세계에서 모두가 행복해지는 해피엔딩은 없다
M: 쾌락 그 자체가 목표가 되었을 때에 생기는 모순
경쟁의 승리가 행복 즉 쾌락의 근원이라고 여기는 것의 모순
행위에서 나오는 행복을 결과에만 좁혀서 바라보는 것이 생각의 뿌리이다
과정 자체를 즐길 수 있는 세상의 다양성의 인정과 본인의 과정을 찾기 위한 노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