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deology

Ideology

Creator
Created
Created
2019 Nov 5 3:17
Editor
Edited
Edited
2023 Jul 5 16:38

사상은 딱딱하고 자존심은 말랑하게 태도는 유연하게

인류의 발전은 소수의 엘리트들이 이끈 것도 맞고, 인류의 안정을 이끈 것에는 군중이 있다
하지만 소수 엘리트들을 이끈 건 자유라는 의지였고
군중을 뭉치게 한 것에는 평등이라는 가치가 있다
둘은 같이 가며 끌고 따라갈 것
자본주의가 꽃피운 인간의 본성 경쟁
Thheodore Jogn Kaczynski politic
시스템은 이데올로기에 의해서가 아니라 기술적인 필요에 의해 유도되기 때문에 그것은 기술의 잘못이다. 우리 사회에서 '정신 건강'의 개념은 개인이 사회의 요구에 발맞추어 행동하고 스트레스의 기미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대개 정의되고 있다.
현대의 좌파 철학자들은 이성, 과학, 객관적 현실을 포기하고 모든 것의 문화적 상대성을 주장한다. 좌파들은 인간이 능력이나 행동을 유전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대해서도 반대한다. 그런 설명이 어떤 사람들을 다른 사람들에 비해 우월하게 또는 열등하게 보이도록 만들기 때문이다. 따라서 만약 어떤 개인이 '열등'하다면, 그것은 그의 잘못이 아니라 사회의 잘못이다. 사회가 그를 올바르게 양육하지 않은 것이다. 자신에게 별로 힘이 없음을 알고 자부심도 약하지만, 그는 여전히 자신에게 강한 자가 될 능력이 있다고 믿는다. 그래서 스스로를 강한 자로 만들기 위해 노력하다 보니 그런 불쾌한 행동이 나오는 것이다. 하지만 좌파는 거기에서 한참을 더 나간다. 그의 열등감은 워낙 깊숙이 뿌리박혀 그는 자신이 개인적으로 강하고 가치 있다는 생각을 할 수가 없다. 여기서 좌파의 집단주의가 생겨난다. 그는 자신을 동일화시킬 수 있는 거대 조직, 또는 대규모 사회 운동의 일원이 되었을 때에야 비로소 자신이 강하다고 느낄 수 있다. 일부 좌파는 테크놀로지에 저항하는 것처럼 보일 수도 있다. 하지만 반대의 예로 볼셰비키가 있다. 그러나 그들이 테크놀로지에 저항하는 것은 그들이 아웃사이더일 경우에 한해서이며, 테크놀로지 체제가 비좌파에 의해 통제되는 경우에 한해서이다. 즉 좌파의 진정한 동기는 좌파주의의 표면적 목표를 달성하는 것이 아니다. 그의 진정한 동기는 사회적 목표를 위해 투쟁하고 목표에 접근하는 과정에서 그가 얻게 되는 권력의 느낌인 것이다. 권력 과정에 대한 욕구로 인해 좌파는 항상 새로운 목표를 추구할 수밖에 없다. 좌파는 소수 민족에게 동등한 기회가 주어지기를 원한다. 일단 그 목표가 이루어지면 이번엔 소수 민족이 통계적인 평등을 이룩해 줄 것을 요구한다. 그리고 어떤 사람이 그 때까지 변함없이 여전히 소수 민족에 부정적 태도를 보이고 있을 경우에는 그사람을 재교육시켜야 한다. 소수 민족만으로는 층분치 않다. 누구도 동성애자와 장애자, 뚱뚱한 사람, 노인, 못생긴 사람들에 대해 부정적 태도를 보여서는 안 된다.
Cho sungle opinion
왜 좌파는 동시에 가질 수 없는 두 특성을 원하는가.
여성에게서 평균적으로 좌성향이 더 나타난다.
여성 인권신장과 정부의 우경화 정도가 반비례하다는 연구가 있다. 일본이 주요한 예
감정을 우선시하면 가질 수 없다는 본질보다 원하는 성질에 더 집중한다
드라마같은 스토리도 잘생겼지만 본인이 잘생긴 줄 모르는 남자를 원하는 것 같이 흔한 사실도 이런 선택이 위의 본인에 대한 비이성적 믿음에서 비롯한다
과거에 노력하지 않고 현재에 고통받는 사람이 구원받을 필요가 있을까
노력할수 있는 권리와 가능성만 있었다면(인프라적 구성 사회체계의 변화) 차별아닌 차별은 정당화된다 모두 평등할수 있음에 다시한번 의문을 가져라. 아무 의미없는 포퓰리즘적 슬랙티비즘일 뿐인 탁상공론은 필요없다.
검은 현대사로 갈등과 상처가 많은 사회를 의회에서 중간을 정한다고 해서, 불연속적으로 나뉘어진 사람들의 갈등과 상처가 좋아지진 않는다.
집단이 모일 때 수단과 목적을 바뀌어 생각하면 안된다. 그 수단만 바라보며 새로운 의미를 그곳에 부여할 때 기존 목적은 사라진다. 양 집단의 중간을 찾아야 한다.
가치관이 옳바르다는 믿음이 그 위의 논리를 자연스럽게 합리시킨다
개인의 노력으로 인한 성장이 타인의 성장과 독립적이지 않을 때
내가 노력해서 올라갔지만 그 성장으로 타인이 뒤쳐질 때 사회구조는 이상과 동떨어지게 된다
이상적인 사회구조는 개인의 노력은 개인을 성장시키고
각자의 노력은 각자의 발전에만 영향을 끼챠야 한다
그런 점에서 인문학은 이상적인 학문이지만 사회 전체의 발전을 위한 과학은 그런 특성울 가질 수 없다
 
 
 
 
 

Recommend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