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Culture

Creator
Creator
Seonglae Cho
Created
Created
2021 Dec 5 11:59
Editor
Edited
Edited
2025 Jul 6 11:11

Reciprocity
없는 개인주의

한국 집단문화는 본질보다 쓸데없는 일들에 과도한 시간을 낭비하는 경향이 있다. 예를 들어 슬랙 채널 만들때 한국 회사에서는 어떻게 할지만 1주일 넘게 토론하여 결국 윗사람 의견대로 된 반면 해외회사에서는 어느누구도 이름짓기에 관심을 가지지 않았고 쓸데없는 형식상 채널은 고려하지도 않았다. 즉 필요할 때 만들고 형식보다 정말 중요한 일에 집중하기 때문이다. 이런 비효율을 질문할 때 눈치보고 자기가 원할 때 찾을 수 있어야한다는 집착 때문인 것으로 보이는데, 질문에 대한 두려움이 없다면 그때그때 물어보면 되므로 쓸데없이 웜업에 많은 시간이 필요없는 것이다. 또한 평범한 사람들 사이에서도 따라야하는 병신같은 규율이 너무 많아, 손가락으로 누구 사람을 가리키면 안된다느니 공공장소 사람 찍으면 안된다느니 오만 불편충이 갖가지 상황에서 난무한다. 이런 예절이라는 포장지로 싸매 남을 비난부터 하는 문화가 나라의 생산성을 좀먹어 망하게 되는 것인데, 600년간 유교뻘짓하고 식민지배나 당하고 나서도 깨닫지 못하는 게 한심하다.
한국 소비의 특징은 동질성이 강한 국가이다 보니 너가 부자가 됐으면 나도 될수 있다는 생각에 질투를 가지고, 상향평준화로 모두가 높은 계층의 서비스를 누리고 싶은 욕망이 강하다. 이런 문화는 좁은 영토로 인한 과도 경쟁의 결과물이다. 즉 다양성이 많아야 사회가 행복해지고, 획일화된 사회가 불행해진다는 것은 한국이 증명했다. 하지만 경쟁사회 때문에 자존감과 용기가 없어진 겁쟁이 사회에서, 막상 삶은 스스로를 위해 살아가면 행복하니까 재밌게 살아가는 사람들이 이끌어나간다. 그럼에도 한국이 망한다면 그 이유의 첫째는 감사하는 마음의 부재이고 둘째는 남 눈치보는 문화이다.
notion image
Korean Culture Notion
 
 
 
한국 문화 특징
 
 
 
 
 
 
 

Recommend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