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urentianEverything moves at the speed of light in Spacetime Visualizing Time DilationWhy is time "relative"? How do we explain the twin paradox? Why does a clock inside an airplane seem to tick slower? All these answers in 11 minutes! 0:00 - Introduction 1:40 - Analogy of the meadow 4:22 - Relativity 9:10 - Conclusion For more videos, subscribe to the YouTube channel : https://www.youtube.com/ScienceClicEN And if you liked this video, you can share it on social networks ! To support me on Patreon : http://www.patreon.com/ScienceClic or on Tipeee : http://tipeee.com/ScienceClic Facebook Page : http://facebook.com/ScienceClic Twitter : http://twitter.com/ScienceClic Instagram : http://instagram.com/ScienceClic Alessandro Roussel, For more info: http://www.alessandroroussel.com/en _ To learn more : https://en.wikipedia.org/wiki/Time_dilation https://en.wikipedia.org/wiki/Hafele%E2%80%93Keating_experiment https://en.wikipedia.org/wiki/Twin_paradoxhttps://www.youtube.com/watch?v=5qQheJn-FHc이폴리트 피조의 톱니바퀴 실험빛의속도를 측정할때 톱니바퀴가 사용되었다고 하는데요. 빛이 반투명 거울을 통과해 톱니바퀴의 빈틈 사이로 지나가고, 먼 거리에 있는 거울까지 이동합니다. 그리고 반사되어 돌아와 다시 톱니의 빈틈을 통과한 뒤, 반투명 거울에 또 반사되어 실험자의 눈에 도달합니다. 이제부터 서서히 톱니바퀴를 회전시키면 , 어떤 순간엔 돌아온 빛이 빈틈을 통과하고, 다른 순간엔 톱니에 막히니 빛이 깜빡깜빡 거리는걸 볼 수 있게 됩니다. 이때 바퀴의 회전 속도를 계속 높이다 보면 빛이 전혀 통과되지 않는 때를 보게 된다고 하는데. 왜그럴까요? 빛이 돌아왔을때, 정확히 다음 톱니에 걸릴 수 있는 속도로 바퀴가 회전하고 있다면, 그 다음 출발해서 빈틈을 통과하고 왕복한 빛 또한, 톱니에 또 막힐것이고, 이게 반복되어, 모든 빛이 완전히 차단되는 규칙적인 상황이 만들어졌기 때문이죠. 이 말은 곧, 빛이 톱니바퀴와 거울을 왕복하는데 소요된 시간이, 곧 톱니가 한칸 움직인 시간과 같아졌다는건데요. 이때 톱니바퀴는 초당 13바퀴를 회전하고, 톱니와 빈틈의 갯수는 720개, 그리고 거울과의 거리는 8km로, 피조는 이 수치를 평범한 속도 공식에 대입해 빛의속도를 알아냈다고 하며, 이때가 무려 1849년이었다고 하네요https://youtube.com/shorts/V7Lx-TGJZqE?si=Gzb2cmrhjyfon2i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