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른 사람들의 눈을 빛나게 하는 것
세계 최고가 되려고 하지 말고세상의 모든 이들에게 더 많은 가능성을 열어주기 위해야 다른 내 위주가 아니라 다른 사람의 눈도 반짝이게 할 수 있다
어떤 분야에 대한 시도는 감정적 사고에 가깝다. 이 대상은 스포츠가 될수도 있고 산업 분야가 될수도 있다. 이런 것을 우리는 취미라고 부른다. 여기서 단순히 한번 해보는 것을 넘어 특정 기간 이상의 지속 가능한 학습은 이성적 사고를 요구한다. 이 공부라는 반복되는 과정이후 어느정도 대체 가능성의 영역을 지나갈 수 있다. 여기에 재무적 사고가 더해진다면 직업 즉 프로의 영역이 된다. 그러면 최종적으로 산업 내 해당 분야에서 가장 영향력을 가지거나 가장 높은 수준의 지식을 인정받으려는 시도를 진행할 수 있다. 이는 이성적 사고나 재무적 사고 이외에도 통계적 사고가 필요로 한다.
이런 논리구조에서 상위 단계로 학습이 진전된다고 이전 사고가 불필요한 것이 아니므로 항상 진전된 모든 사고를 충족시키도록 알맞은 사고의 배분이 필요하다. 예를들어 어떤 시점에서도 감정적 직관적 사고는 랜덤한 창의성의 역할을 담당한다.
그러니 감정이 중요한 일에서는 현재의 감정에 집중하고, 이성이 중요한 일에서는 현재의 이성에 집중해야 한다.
The dream of yesterday is the hope of today and the reality of tomorrow
If you don’t have vision, go to a doctor
So do not say something is impossible
평범함에 남는 사람들은 장기적인 계획 비전이 없던 사람들이었다
반대도 마찬가지
비전은 가능성
투자해야할 여러 목표들
그 중에서 자신이 가장 최우선으로 할 것을 정하고
나머지는 본인이 가지고 있는 자본(시간)대비 최고 효율이 나오는 방식으로 투자하고
최우선으로 삼은 목표에 대해서는 남은 자본을 전부 투자하는 것이 이상적인 자본 분배 방식이다
단기적인 성취만을 위하지 않는 욕심
순간순간에 집착하지 마라
Spend time as your role models have done at your age
- 명료할 것
자신이 원초적인 결핍으로 성취감을 이끌어내는 일을 추론하고 그런 일을 해야
나는 사업자이자 학자이자 리더가 되고 싶은것
목표가 사람을 바꾸고 선택이 성공을 이끈다
어떻게 살아야할 지 모르겠을 때, 그 때의 행동들이 앞으로의 10년을 결정한다
finding meaning and purpose in daily tasks is the key to long-term Happiness